산소발생기 겸용 오존발생기



모델명 : O2B-DUOZ3
산소유량 : 5 LPM (Litter / min)
산소순도 : 90% ± 3%
산소생산방식 : PSA방식
오존 발생성능 : 3g / hr
소비전력 : 500W
소음 : 45dB
SIZE : 442 x 654 x 546 (mm)
중량 : 45Kg
사용전원 : AC 220V 50Hz/60Hz
모델명 : O2B-DUOZ5
산소유량 : 5 LPM (Litter / min)
산소순도 : 90% ± 3%
산소생산방식 : PSA방식
오존 발생성능 : 5g / hr
소비전력 : 500W
소음 : 45dB
SIZE : 442 x 654 x 546 (mm)
중량 : 45Kg
사용전원 : AC 220V 50Hz/60Hz
모델명 : O2B-DUOZ10
산소유량 : 7.5 LPM (Litter / min)
산소순도 : 90% ± 3%
산소생산방식 : PSA방식
오존 발생성능 : 10g / hr
소비전력 : 550W
소음 : 45dB
SIZE : 442 x 654 x 546 (mm)
중량 : 46Kg
사용전원 : AC 220V 50Hz/60Hz
모델명 : O2B-DUOZ15
산소유량 : 7.5 LPM (Litter / min)
산소순도 : 90% ± 3%
산소생산방식 : PSA방식
오존 발생성능 : 15g / hr
소비전력 : 600W
소음 : 45dB
SIZE : 442 x 654 x 546 (mm)
중량 : 46Kg
사용전원 : AC 220V 50Hz/60Hz
모델명 : O2B-DUOZ20
산소유량 : 7.5 LPM (Litter / min)
산소순도 : 90% ± 3%
산소생산방식 : PSA방식
오존 발생성능 : 20g / hr
소비전력 : 700W
소음 : 45dB
SIZE : 442 x 654 x 546 (mm)
중량 : 47Kg
사용전원 : AC 220V 50Hz/60Hz

 

산소발생기 겸용 오존발생기는 일반적으로 산소발생기를 사용하다가 오존이 필요할 경우 오존발생기를 가동하여 오존을 생성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산소와 오존 일부를 동시에 사용이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만든 제품입니다.
당사는 상기의 제품보다 대용량의 산소 또는 오존을 발생하는 산소발생기 겸용 오존발생기도 고객이 원하는 사양에 맞춰 제작이 가능합니다.

 

당사 산소발생기 겸용 오존발생기 장점

오존은 산소원자 3개가 결합된 분자입니다.
오존은 화학적으로 안정된 산소원자 2개가 결합된 산소에 산소원자를 1개 강제로 결합시켜 생성된 분자인데 일반적으로 오존을 만들기 위해서 산소에 고전압을 가하여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어서 오존을 생성시킵니다.
이 때 보통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 대기 중의 공기 속에 있는 산소를 고전압기기를 통과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방법과 산소발생기를 사용하여 순도 90% 이상의 고순도 산소를 고전압 기기를 통과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일반 대기공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산소 순도가 낮은 관계로 일반적으로 오존 발생량이 산소발생기의 고순도 산소를 사용하는 방법보다 현저히 적게 발생합니다.
당사는 산소발생기 전문제조회사로서 당사의 산소발생기를 적용한 고농도 오존발생장치를 직접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존발생기의 핵심인 산소발생기의 안정성 및 내구성에 많은 경험과 노하우가 있습니다.

 

  • 산소발생기의 핵심 부품인 컴프레셔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역활을하며 산소발생기에 있어서 핵심 부품이지만 자체적으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며 고온에 오래 노출되면 압축 펌프의 프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컴프레셔의 수명이 매우 짧아지게 되고, 산소발생의 성능과 수명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끼칩니다.
  • 따라서 컴프레셔 자체적으로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하는 점이 중요하며, 거기에 더해 소발생기 내부에서 있는 열기를 제품 밖으로 배출시켜 주는 제품 설계와 차가운 외기를 안으로 들여 보내줄수 있는 공기 순환 구조의 설계가 매우 중요합니다.

나. 산소를 걸러주는 필터역활을 하는 제올라이트 보호

  • 산소발생기는 외기를 컴프레셔가 흡입하여 압축공기로 만든 후, 산소를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제올라이트 필터를 통과시키면서 산소는 투과시키고 질소는 별도로 배출하는 구조로 설계된 제품입니다.
  • 제올라이트 필터는 습기에 매우 약하여 습기에 많이 노출되면 필터 성능이 저하되고, 나중에는 필터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하게 되어 산소발생기가 고순도로 농축된 산소가 아닌 일반 바람만을 생성하게 됩니다.
    컴프레셔가 흡입하는 외부 공기에는 습기가 함유되어 있으며, 컴프레셔를 통과한 공기는 뜨겁게 가열되었다가 식는 과정에서 응결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응결수가 지속적으로 제올라이트에 공급되면 제올라이트는 점차 산소 필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점진적으로 산소 농도가 저하됨), 궁극적으로는 산소를 전혀 필터링하지 못하게 됩니다.
  • 따라서 산소발생기에서는 제올라이트 필터로 유입되는 수분을 그 이전 공정에서 충분히 제거하는 공정 설계가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2. 당사의 산소발생기의 내구성을 위한 장점 설명

가. 낮은 열발생 및 방열 처리 설계

  • 당사는 대부분의 타사 제품에 적용되는 중국산 컴프레셔가 아닌, 국내 업체가 국내에서 생산하는 컴프레셔를 적용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제품의 A/S 대응이 빠르고 비용도 타사 대비 저렴한 편입니다.
  • 컴프레셔는 콘덴서 용량이 낮은 제품을 적용하면 가동 시 열 발생이 줄어들 수 있으나, 콘덴서 용량이 낮을 경우 초기 기동 시 내부 압력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기동력이 부족하여 컴프레셔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 코일이 부하를 받아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산소발생기 업체들은 고용량 콘덴서가 적용된 컴프레셔를 사용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지속적으로 가동할 경우 컴프레셔에서 고온이 발생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 당사는 최저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되, 초기 기동 시 내부 압력이 컴프레셔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별도의 압력 배출 메커니즘을 설계하였습니다. 초기 기동 시 내부 압력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한 후 컴프레셔가 작동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 컴프레셔는 지속적으로 가동되면 온도가 상승하므로 이를 식혀주기 위한 FAN을 설치하여 냉각이 필요합니다. 타사는 대부분 1개 또는 2개의 FAN만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컴프레셔를 식혀주는 FAN을 상측에 2개, 하측에 2개를 설치하여 냉각 성능을 극대화하였으며, 하측 FAN은 내부에서 데워진 공기가 다시 순환하지 않도록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상측에 FAN을 추가로 설치하여 남아 있는 열기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총 5개의 FAN이 장착된 방열 시스템을 구성하였습니다.
  • 제품 외부에는 먼지를 필터링하면서 외부 공기를 충분히 유입할 수 있도록 좌우 측면에 다량의 공기 순환 구멍을 마련하였습니다.
  • 이에 따라 타사 제품과 비교했을 때, 초기 컴프레셔 발열부터 냉각, 내부 열기의 외부 배출까지 설계 측면에서 철저한 고려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나. 산소를 걸러주는 필터 역할을 하는 제올라이트 보호

  • A) 당사는 컴프레셔의 압축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1차로 대형 냉각 쿨러를 적용하여 뜨거워진 공기를 충분히 냉각시켜 많은 양의 응결수를 발생시키고, 이를 에어필터 및 당사의 독자적인 응결수 포집 장치와 자동 배출 시스템을 통해 제거합니다. 이로 인해 제올라이트에 유입되는 공기는 매우 건조하며, 필터의 성능을 타사 대비 훨씬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반면 타사 제품은 컴프레셔에서 나오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의 용량이 작아 응결수가 충분히 발생하지 않으며, 응결수를 포집하는 장치가 없거나 단순히 에어필터 1개만 설치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응결수의 포집이 불충분하여 제올라이트에 수분이 유입되며, 이로 인해 산소를 걸러내는 성능이 당사 제품에 비해 빠르게 저하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